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요소가 최적화되었습니다.
첫째,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착용 및 조작이 필수적이므로 사용자 경험(UX)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착용 후 이동, 뛰기, 기기 동작 등의 행동을 고려해 디자인을 평가했습니다. 또한, 소방대원과의 인터뷰를 반영하여 최소한의 동작으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착용 방식을 개선하였으며, 탈출 중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품의 크기, 무게 중심, 스트랩 구조를 최적화했습니다.
둘째, 리브리더 구조상 날숨을 재활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므로, 디자인과 구조를 조화롭게 설계하였습니다. 호흡 장치의 필터 및 공기순환 경로를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산소 재활용 구조를 형성했고, 기밀성과 내구성도 고려하여 밀폐력이 유지되면서도 가벼운 소재를 적용했습니다.
셋째, 제품이 응급용 장비인 만큼 양산 시 신뢰성과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소재와 제작 방식이 필요했습니다. 실사용 및 양산성을 고려해 내열성 원단과 밀폐 기술을 적용하였고, 제봉 방식과 제작 공정을 최적화하여 양산 대응이 가능하도록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실제 생산이 가능한 협력업체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디자인을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