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 개발 과정
첫 번째로, 스마트링의 특성상 초정밀 부품이 들어가므로 미세 가공 및 정밀 조립이 가능한 제조사를 선정해야 했습니다. 배터리와 하드웨어 모듈을 내장하면서도 방수가 완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가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최적의 제조사를 물색하고, 스마트링의 모든 기술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았습니다.
두 번째로, 스마트링의 조립 구조를 최적화하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내부 레진을 추가하고 최적의 조립 방식을 연구하여 조립 난이도를 낮추면서 내구성을 극대화했습니다. 또한, 0.3mm 두께의 초박형 하우징을 설계하여 강성과 유연성의 균형을 맞췄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링이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로, 충전 구조 및 센서 배치의 최적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스마트링의 크기가 작은 만큼, 내부에 심박수 측정 센서와 충전 단자를 배치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디자인이 필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손가락 굵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립 구조를 설계했습니다. 또한, 최소 비용으로 크레들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양산성도 확보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양산을 고려한 디자인 진행이 있었습니다.
스마트링의 외형은 단순하지만, 양산을 고려하여 실제 생산이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중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양산이 가능한 업체를 직접 소싱하고 협의하여, 실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며,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디자인을 최적화했습니다.